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2)
'240102:2024 시스템·메모리 반도체 시장 전망··· 'AI, 왕도로 가는 길'/삼전·하이닉스, 첨단산업 '눈(이미지센서)'에 AI /삼성 파운드리 CTO 5 개월만에 변경 안녕하세요? ​ 오늘의 첫기사는 2024년의 '생성형 AI'에 대한 고찰입니다. 내년에 가장 주목받을 기업은 '엔비디아'가 아닌 '인텔'이라는 내용이 매우 인상깊습니다. 여러 번 언급되었지만, 최근 기술적인 성과와 계획(1.8nm), 이스라엘 투자, '가우디3(AI가속기)' 등으로 향후 상승세가 기대된다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AMD의 성과와 대만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언급되었습니다. ​ 기대했던 엔비디아에 대해서는 2024년에 게임용 그래픽카드가 출시되지 않을 전망이라 '게이머에게는 혹한기'가 될 것이며 'AI반도체 시장에서는 성능 상한선을 다시 긋는 해가 될 것이다'라고 언급되었습니다. ​ Arm에 대해서는 생성형 AI 및 에지컴퓨팅, 저전력 컴퓨팅 시장에서 성과를 낼 것으로 예측된다고 합니다. 이 부..
20231228:AI 시대 급부상 'CXL 메모리'…삼성, 차세대 반도체 선점 발판/인텔, 이스라엘에 32 조 투자…"삼성 파운드리 추월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의 첫 기사는 삼성전자가 HBM 대신 선택한 CXL에 대한 내용입니다. CXL(Compute Express Link:컴퓨터 익스프레스 링크)로 차세대 메모리 기술로서 메모리 용량을 유연하게 늘릴 수 있는 연결 기술로, AI(인공지능)처럼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 적합한 기술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2758821 기사에서는 최근 기업용 리눅스 1위 기업 레드햇과 함께 통해 독작을 검증에 성공했음을 발표했으며 HBM과의 차이점을 설명했기에 본문을 인용합니다. ​ CXL 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AI 시대에 중요한 기술로 꼽힌다. AI 용 메모리로 주목받고 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가 D 램 여러 개를 연결해 메모리 성능을 끌어 ..
20231226:'실적 부진' 삼성맨 성과급 쇼크…7780 만원 줬던 TSMC 는?/AI 스마트폰'이 뭐길래…또 시작된 '삼성 vs 애플' 전쟁 안녕하세요? ​ 오늘의 첫번째 기사는 삼성전자와 TSMC의 비교 내용을 머니투데이의 김재현 전문위원이 자세히 다룬 내용입니다. TSMC는 파운드리 사업만 하기 때문에 단순 비교는 될 수 없겠지만, 심도있게 다룬 기사 내용이라 꼼꼼이 보게 되었습니다. Cf. 삼성전자의 DS부분은 메모리반도체 사업부, 파운드리 사업부, 시스템LSI(팹리스 역할) 사업부로 구성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22209094137124&type=2&sec=industry&pDepth2=Ito tal 삼성전자 DS 부문과 TSMC 실적이 엇갈리기 시작한 건 지난 해 하반기부터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면서, 설비투자 추이를 비교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설비투자가 우위였던 과거와 달리 최..
20231220:정권 교체땐 'TSMC 脫대만' 가속화할듯 /네이버·삼성 저전력 고효율 AI 반도체 첫 공개/"글로벌 반도체 인재 韓 유일한 지원정책 시급" 안녕하세요? ​ 오늘의 첫 기사는 TSMC와 대만 총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만의 총통 선거 결과에 따라 TSMC의 향방이 바뀔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정치와 경제는 언제나 이러한 양상을 띄는 것 같습니다. 결과론적인 이야기이지만, TSMC가 대만정부와의 관계로 크게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은데 현재 여당은 TSMC의 성과를 강조하고 확대하고 싶어할 것인데 반해 야당은 불균형적이라는 명분으로 탈 대만 글로벌 진출을 유도할 것이라는 추측입니다. ​ 이러한 정치-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은 산업화 과정에서 여러 번 보아왔던 현상인 듯 합니다. 저는 야당이 집권한다는 가정 하에서라도 특별히 TSMC의 탈 대만에 가속화가 된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기존 여당이 집권하고 있는 과거와 현재에도 미국, 독일, ..
뜸사랑정회원시험]583. 침뜸요법기록부(진단처방학) 문제 해설 <출처:침뜸문제은행-정통침뜸연구소> •침뜸요법 기록부 서울시 송파구 잠실동에 사는 오시종 씨는 금년 나이 53세인 직장인으로 체형은 조금 뚱뚱한 편이다. 바쁜 생활에 운동을 하지 못하고 마음으로만 운동을 열심히 해야지 하며 지내고 있는데, 언제부터인지 가슴의 통증이 발작하는 것이 나타나며, 급히 걷는다거나 힘겨운 물건을 들 때면 가슴의 통증이 발생하며 숨이 막힐 것 같이 가슴 조이며 가슴을 찌르는 듯한 통증도 나타난다. 또한 청소. 세수·목욕할 때 등 일상생활 동작에서도 통증이 나타나며, 가슴의 부담이 증가하면서 가슴 중앙에서 또는 왼쪽 유방의 아래쪽을 중심으로 '목, 왼쪽 어깨, 오른쪽 가슴, 왼쪽 팔에서 명치로 파급되는 증상이 나타나면서 압박하는 것 같이 숨이 막힐 것 같은 둔통이 느껴지며 마음이 불안하다. 표면에서보다 오히려 깊숙한 ..
뜸사랑정회원시험]582. 침뜸요법기록부(진단처방학) 문제 해설 <출처:침뜸문제은행-정통침뜸연구소> ​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 주공아파트에 사는 박정근 씨는 올해 45세의 남성으로 부인과 1남 1녀의 자식을 둔 단란한 가정의 가장이다. 박씨는 인천에 소재한 중소기업의 영업부장으로 재직 중이며 신체는 마른 편이고, 담배는 하루 한 갑, 술은 업무상 많이 들게 되고, 혈압은 약간 높다. 올해 들어 경기가 워낙 나빠서 영업실적이 부진하여 걱정이 말이 아니다. 사소한 일에도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게 되고 집에서는 아이들 일로 화를 내는 일이 잦아졌다. 석 달 전 모처럼 일찍 퇴근하여 가족들과 저녁식사를 하던 중에 부인이 "당신, 얼굴과 눈이 왜 그리 빨개요? 무슨 일 있어요?"라 는 말을 듣고는 요즘 화를 내는 일이 잦아 그렇겠지 하고 생각하였다. 그러고서 며칠이 지난 뒤에 업무와 관련하여 부하 직원에게 크게 ..
20231219:삼성·SK 하이닉스, 새해 반도체 투자 20% 이상 /“두 번은 안져”…HBM 밀린 삼성, CXL 로 자존심 회복 /인텔, 신규 프로세서 '코어 울트라'·5 세대 서버용 칩 출시…"AI 접근성 강화" 안녕하세요? 오늘의 첫 기사는 내년 삼성과 SK하이닉스가 반도체 장비 투자를 올해보다 20% 이상 늘린다는 내용입니다. 아래 D램 시장 연매출 추이 및 전망을 보면 2021년, 2022년 에 비해 적을 것으로 전망하는 데에도 이런 투자를 하는 것이 다소 의외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사 후반에 "삼성전자와 SK 하이닉스는 메모리의 경우 DDR5 와 HBM 중심으로 장비 투자를 준비한다. 삼성전자는 동시에 3 나노(㎚)와 2 나노와 같은 초미세공정에 대규모 투자를 계획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https://www.etnews.com/20231218000305?mc=em_001_00001 를 읽으면서 의문이 해소되었습니다. ​ 다음 기사는 삼성이 HBM 에서 잃은 자존심을 CXL로 회복하겠다는 ..
20231218:삼성전자·하이닉스, 드디어 터진다…"고맙다 AI 폰" 무슨 일이/인텔, AI 칩으로 엔비디아에 도전장…델·MS 등과 연합전선/“중고가격이 새 장비 가격의 80%”…서플러스글로벌 안녕하세요? 오늘의 첫 기사는 "드디어 터진다" 라는 제목때문에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기사를 읽어보고 부푼 기대는 금방 사라져 버렸습니다. 내용은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스마트폰(AI폰)의 등장에 의해 낸드 시장이 성장할 것입니다. 그런데, 그걸 "터진다"라는 단어로 아주 잘 포장한 기사입니다. 특히 기사 후미에는 2023년 낸드 시장 큰 폭의 당기순손실이 있었고 큰 폭의 가격인상이 있을 것이라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21718541 저는 이런 경우, 큰 폭의 반등 또는 회복 등의 용어가 '터진다'라는 말보다 훨씬 적절할 것 같습니다. ​ 두 번째 기사는 인텔이 델과 MS 등과 연합하여 AI칩인 '가우디3'를 공개했다는 기사입..
20231215:반도체 부활 꿈꾸는 日…"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공헌"/“K 반도체 힘 대단하네”…전세계 ‘슈퍼을’ 기업 3 곳, 한국에 둥지 튼다 오늘의 첫 기사는 일본 반도체 부활을 꿈꾸는 일본이야기입니다. ​ 세미콘 재팬 2023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952006635838520&mediaCodeNo=257 저는 어렸을 때부터 우리 나라가 일본의 많은 부분을 따라간다고 생각합니다. (자존심에 상관없이) 일본에 대해서 '모방의 천재'라는 프레임이 있었던 시기도 기억이 나고 세계 2위 경제 대국이 되었을 때 '세계 1위 자살율'에 대해서 뒷담화를 깠던 기억도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우리나라가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위상이 높아졌지만, 일본이 가지고 있던 '세계자살율 1위'의 멍예를 가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을 회복하기 위해 일본 정부가 수십조 원을 투자하며 전폭..
20231214:FT “TSMC, 2 나노 프로토타입 애플 제공/마이크론 “차세대 HBM '25 년 점유율 20% 달성”/"삼성, ASML 과 동맹 '메모리·파운드리' 선단경쟁력 안녕하세요? 오늘의 첫 기사는 TSMC의 2나노 프로토타입이 애플에 제공되었다는 소식입니다. 어제에 이어 2나노가 TSMC와 삼성전자의 승부처인 것처럼 보입니다. (기사 원문 참조 https://www.etnews.com/20231213000292 ) ​ 관건은 수율이다. 초미세공정으로 갈수록 제조가 까다로워 수율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애플 아이폰 15 출시 직후 나타난 발열 이슈 원인으로 TSMC 3 나노 공정 가능성이 제기될 정도로 최선단 공정 기술 완성은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기업에 쉽지 않은 과제다. 파운드리 1, 2 위 업체인 TSMC 와 삼성전자 모두 2025 년 2 나노 양산을 자신하고 있다. TSMC 는 FT 에 “2 나노 기술 개발이 잘 진행되고 있고 2025 년 대량 생산 궤도에..